Home > Customer > News
제목 서울시 뉴타운 정책..강남북 영향 큰 편차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2-02-06 조회수 1314
 서울시발(發) ‘뉴타운 태풍’이 거세지만 지역별로 체감하는 온도 차이는 크다.

 강남에서 가깝고 개발호재가 기대되는 뉴타운 구역은 오히려 사업에 가속도가 붙는 반면 외지인 투자자가 적은 외곽이나 저개발 구역은 해제로 가닥을 잡는 분위기다.

 5일 서울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시내 뉴타운·재개발·재건축 사업구역 중 조합설립인가를 받지못한 초기 단계 사업장들이 주로 재검토 대상이 될 전망이다.

 시는 당초 사업시행인가 이전 단계인 610개 구역이 재검토 대상이라고 밝혔지만 이 중에서도 조합이 구성된 구역은 사실상 해제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게 시 안팎의 예상이다.

 따라서 아직 추진위원회조차 구성되지 않은 정비구역 지정 단계의 사업장이나 추진위가 구성됐어도 조합 설립에 애를 먹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해제 또는 취소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한남·마천·천호뉴타운 ‘오히려 속도 낼 듯’ = 개발호재 기대로 외지에서 온 투자자가 많은 강남권 주변이나 한강변 뉴타운에서는 사업을 서두르자는 움직임이 가시화하고 있다.

 한남뉴타운, 마천뉴타운, 천호뉴타운이 대표적이다.

 용산구 한남동 A공인 관계자는 “서울시 정책 발표 후 지분가진 이들이 ‘사업이 취소될지 모르니 싸게라도 팔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문의를 많이 한다”고 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앞으로 괜찮을테니 일단 갖고 계시라고 하면 굳이 당장 팔려는 매도인은 별로 없다”고 전했다.

 주변의 부동산 중개업소에는 지금이라도 손을 털겠다며 싼값에 내놓은 다가구주택, 빌라 등의 급매물이 있지만 매수 문의는 전혀 없다.

 부동산 경기침체로 급매물도 팔기 쉽지않은 상황이라 혼자 빠져나가기보다는 취소 가능성을 줄이고자 사업 속도를 내는 데 협력하는 소유자들이 더 많다.

 A공인 관계자는 “한남뉴타운은 강남을 내려다보는 지형인 데다 강남북 모두 이동하기 쉬운 교통 요지여서 투자자 비중이 크다”며 “1구역은 상가가 많아 반대자가 많은 편이지만 몇달 전 추진위가 구성돼 조합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한남뉴타운 2구역과 3구역은 주민 75% 이상의 동의를 받아 이르면 3~4월께 조합 설립을 앞두고 있고 4구역과 5구역도 70% 이상이 조합설립에 동의해 다음 단계 진입을 서두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위례신도시, 사업시행인가를 앞둔 거여뉴타운과 인접한 마천뉴타운도 주변 지역과의 동반 개발효과에 대한 기대로 아직 초기 단계지만 해제보다는 사업 진척에 더욱 무게가 실린다.

 송파구 마천동 T공인 관계자는 “서울시 발표 이후 며칠 사이에 나온 급매물을 없다. 아무래도 여기는 강남권 아니냐”며 “여기는 투자자 비율이 높은데 서울시 발표로 위기를 느껴 협조를 잘한다고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 정책에 따라 빨리 추진위를 구성하지 않으면 취소될 수 있다는 위기감에 최근들어 추진위 구성에 동의하는 소유자들이 늘고있다. 마천뉴타운 1구역은 46% 이상, 3구역은 40% 이상 동의해 50%의 구성 요건을 거의 채운 상태다.

 역시 강남권에 가까운 천호뉴타운은 대다수 구역이 정비구역 또는 정비예정구역 지정 단계에 머물러 불안해하는 주민이 많지만 외지인 투자자가 많은 편이어서 사업 순항 쪽에 좀더 무게가 실린다.

 천호동 N공인 관계자는 “추진위 설립 이전이라 동요하는 주민이 많지만 반대자가 30%까지는 안될 것 같다”며 “워낙 부동산 경기가 어렵다 보니 시세보다 300만~400만원 싼 소형 급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서울시 정책 발표 이후 추가로 쏟아지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닥터아파트 이영호 리서치연구소장은 “거여·마천은 위례신도시 개발과 맞물려 있고 한남은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과 한강 조망이 기대돼 투자자들이 많이 들어온 구역”이라며 “사업이 무산되면 큰 손해를 볼 수밖에 없어 똘똘 뭉쳐서 사업을 진행하자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창신·노량진 등 투자자 적은 뉴타운 ‘해제 수순 밟나’ = 반대로 외부 투자자가 적은 몇몇 뉴타운은 원주민들의 반대로 해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들 지역은 대규모 아파트촌으로 재개발하기보다는 서민들을 위한 저가 임대주택 공급이 더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된다.

 창신·숭인 뉴타운은 월세를 놓고 임대수익을 얻는 주민들을 중심으로 반대가 심한 데다 재개발에 따른 수익도 낮을 것으로 전망돼 유력한 해제 후보로 꼽힌다.

 종로구 창신동 B공인 관계자는 “매도나 매수 문의가 전혀 없다”며 “뉴타운 진행이 안 되고 새로 건축도 못하니 주택공급이 부족한 상태다. 아예 구역에서 빨리 풀리는 게 낫다고 보는 주민들이 많다”고 전했다.

 수험생을 대상으로 한 저가 임대주택이 많은 노량진뉴타운도 사정이 비슷하다.

 동작구 노량진동 N공인 관계자는 “원래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뉴타운 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모든 건축행위가 중단돼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아파트보다는 고시원 등 싼 주택을 임대하는 지역이라 외부 투자자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뉴타운 거품’이 일었던 2006~2007년까지만 해도 대지 지분 가격이 3.3㎡당 최대 4천만원까지 올랐지만 지금은 2천만원대에도 팔기 어렵다는 전언이다.

 차라리 뉴타운에서 해제되면 노후 주택을 손봐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오피스텔로 리모델링해 임대하려는 대기 수요가 많아 사업 취소를 기다리는 주민들이 많다.

 영등포뉴타운도 마찬가지로 대규모 아파트로 재개발하기보다는 지역 특성에 적합한 소형주택으로 정비하는 게 낫다고 판단하는 기류가 강한 편이다.

 영등포동 H공인 관계자는 “외부 투자자들은 계속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난리지만 추가부담금 때문에 반대하는 원주민이 많다”며 “동네 특색을 살려 요즘 인기있는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오피스텔로 소규모 정비하는 데 관심이 더 많다”고 전했다.

 이처럼 뉴타운의 미래가 엇갈리고 있지만 해제가 유력한 사업장 이나 진행 가능성이 큰 사업장이나 당분간 거래가 안 되기는 비슷할 전망이다.

 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팀장은 “지금처럼 극심한 불황 시장에서는 사업이 잘되는 구역이라고 해서 반사이익을 누리기 어렵다”며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이라 가격이 덜 빠지냐, 더 빠지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2012년 02월 05일자 발췌 --